정박사집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정박사집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2)

검색 레이어

정박사집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올바른 책읽기 방법

  • 신화적 요소에 대한 현대적 해석

    2023.06.18 by 도추 정박사

  • 작가와 작품과 독자의 관계 규명을 통한 올바른 책읽기 방법

    2023.06.18 by 도추 정박사

신화적 요소에 대한 현대적 해석

The second week - 신화가 현대문명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논의 - ♠ 한국에 창세신화가 있는가? • 창세신화 : 현재 우리가 사는 세상이 어떻게 생겨났는가 하는 그 기원을 설명하는 신화. • 창세신화는 세계 신화에서 주로 나타나지만, 그 과정이 선명하게 나타나는 것은 [성경]의 「창세기」이다. 우리에게 창세신화가 있었던가? 아니 신화가 있었던가? 「단군신화」는 고조선의 시조를 숭앙하는 신화이다. 「단군신화」는 조선 후기 반존화적 도가사상을 시작으로 무장항일운동에 이르기까지 민족을 결집시키는 역할을 했으나, 이후 박정희 정권에 와서는 식민사고를 벗어나기 위한 도구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는 일본의 천황 숭배에 대항하기 위한 것으로 우리 신화를 일본의 그늘아래에 놓고 말았다. •..

카테고리 없음 2023. 6. 18. 20:27

작가와 작품과 독자의 관계 규명을 통한 올바른 책읽기 방법

The first week(01/10) 1. [?] -- [왜] ① 우리는 우리 앞의 모든 문제들에 관하여 의문을 가져야 한다. ② 의문은 단순한 의문이 아니라 문제를 낸 출제자의 의도에 관해 의문을 가져야 한다. ③ 출제자가 무슨 목적으로 문제를 냈는가에 대해 스스로 출제자의 입장에 서서 고려해야 한다. ④ 그런 입장에서 생각을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초기 의문에 대한 해답을 구해야 한다. 2. :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 그러나 무작정 많이 읽어서만 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지금까지는 어떤 책을 어떻게 읽고 그것을 바탕으로 어떻게 쓰는가가 중심이었다. 하지만 그에 앞서 선행되어야 할 것은 책이란 과연 어떤 것인가 하는 것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이러한 규명이 전제되었을 때 보다 확실한 읽기와 쓰기..

카테고리 없음 2023. 6. 18. 20:0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정박사집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