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이란 무엇인가?
• 문학은 언어로 이루어진 예술이다. 음악 : 시간예술, 미술 : 공간예술
문학은 언어예술이지만 시간예술과 공간예술의 성격을 함께 지닌다.
• 문학의 요소는 무엇인가?
① 있을 수 있는 가공의 이야기 : 문학은 터무니없는 것이 아니며 상상력에 근거한 문학.
② 공감을 자아내는 이야기 : 동시에 독자에 의해서 공감을 자아내는 정서적 이야기.
③ 진실성을 가진 이야기 : 아울러서 문학적 진실성을 추구하는 이야기.
문학은 인식과 형상을 통해서 자체의 진실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 소설이란 무엇인가?
• 소설은 있을 수 있는 이야기로서, 인간관계를 사건화하여, 시간적으로 전개하는 구성을 갖추며 일정한 주제를 통해서 흥미와 교훈을 얻게 하는 갈래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야기이다.
• 이야기는 반드시 이야기하는 사람과 이야기 듣는 사람 사이에 존재한다. - contex -
• 그런데 이야기 자체는 이야기 속의 사람과 이야기 속의 상대역으로 나뉜다. 이것은 text 자체의 분별되는 대결요소라 할 수 있다.
• 문학은 문학작품과 현실의 관계를 문제삼는 언어예술이고, 소설은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작품 내적 자아와 세계가 상호우위에 입각해서 대결을 벌이는 것이다.
♠ 소설의 의미
일 차 적 의 미 | 이 차 적 의 미 |
~이다 그려서 보여주는 의미 |
~해야 한다 그려서 보여주는 데서 그치지 않고 평가와 행동을 유발한다. |
그려서 보여주는 대상이 흥미 그려서 보여주는 방법이 흥미 양자가 합쳐서 인식을 새롭고 풍부하게 하기도 한다. |
인식을 새롭고 풍부하게 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가치에 대해 평가하고 행동의 방향을 제신한다. |
김동인의 ‘감자’. 그려서 보여주는 것 그리고 그려진 내용의 충격적인 자극. | 현진건의 ‘운수좋은 날’. 모순적인 사회에 대한 분노 표출. |
♠ 신화, 전설, 민담의 시대
• 신화 : 자아와 세계의 동등한 작용에 입각한 대결을 통해 둘이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이르는 질서추구. <동명왕 신화> 신들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어떻게 신화적 질서를 추구하고, 어떻게 새로운 질서가 탄생했는가 하는데 서사적 내용이다. 신화적 질서가 구현되는 게 특징이다.
∙ 인물의 대립
천제 - 해모수 : 하늘, 이동성(유랑성), 공격, 지배계층
하백 - 유 화 : 물, 고착성(정착성), 방어, 피지배계층
동명왕의 탄생과 고구려의 건국이라는 상호보완적인 질서, 화합의 등장
• 전설 : 세계의 우위에 입각한 자아와 세계의 대결을 통해 세계의 경이를 보여준다. <아기 장수전설> 인간의 좌절과 그 비극적 원인을 집요하게 추구하는 것이 커다란 특징이다.
∙ 인물의 대립
아기장수가 탁월한 능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관념을 대표로 하는 부모, 어머니, 관군 등에 의해서 무참하게 아기장수가 죽고, 말무덤이나 바위 또는 발자국이 증거로 남는다. 이것이 전설적 증거를 가진 전설적 경이이다.
• 민담 : 자아의 우위에 입각한 자아와 세계의 대결을 통해서 자아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인간의 가능성이 한껏 확장되어 기술된다.
∙ 인물의 대립
오누이는 죽음을 무릅쓰고 호랑이의 공격을 피한다. 첫째 호랑이는 어머니를 가장한다. 둘째 오누이는 호랑이의 공격을 피하고 하늘로 승천해서 해와 달로 된다. 자아는 패배하지 않는다.
♠ 金時習의 <金鰲神話> 鰲=鼇(큰 자라, 바다거북)
현실의 우위에 입각한 세계의 횡포에 맞서서 자아가 비현실적 의지를 관철하려고 해서 상호우위에 입각한 대결을 벌인다. 대결 자체가 자체에 의해서 해명되고 다르게 초월적 원리나 힘에 의존하지 않는다. 김시습의 소설과 허균의 한문소설은 교술적인 내용이 완강하고, 설화적 성격이 강하게 남아 있는 것이 기본적 특징이다.
♠ <전기(傳寄)> : 당나라 이후 독자적인 한문학 갈래이다.
형식- 修飼的인 文體, 洗鍊된 詩文이 結合
내용- 산 남자가 죽은 여자와 交感(雲雨之樂), 동양적인 전통의 전개에 대한 개념 규정
♠ <殊異傳> 수식적 문체로 기록한 설화
⑴ 구체성은 있으나 사실성이라 할 수 없다.
⑵ 전기적 생애가 없고, plot의 문제
⑶ 미학적 특질 - 루카치의 이론
루카치, 소설의 이론
♠ <금오신화>는 전기소설이지만 미학적 구성이 뚜렷하고 설화와 달리 의도적으로 창작된 작품이다.
♠ 조선 초기의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단편 소설집.
시대적 배경 : 국학정신(國學精神)의 발로로 자주적인 태세를 갖추고, 이 땅의 꿋꿋한 독립적인 기상을 나타내게 된 것.
지은이의 환경 : 세조 정권의 폭력․불의에 대한 의분심의 발로요, 뜻을 잃고 방랑의 길에 오른 지은이 자신의 생애에 대한 종착점의 모색.
♠ ‘돈키호테’형의 인물과 ‘헴릿’형의 인물의 특징을 서술․비판하고 자신의 생각을 논술하시오.
♠ ‘돈키호테’와 ‘금오신화’가 지니고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소설의 특징에 대해 논술하시오.
♠ ‘돈키호테’에서 풍차를 향해 돌진하는 모습을 통해 인간의 특성을 논술하시오.
♠ ‘금오신화’의 ‘남염부주지’에 나타난 철학사상을 바탕으로 작가가 말하고자 했던 현실의 문제는 무엇인가 밝히고, 그 철학사상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논술하시오.